티스토리 뷰

 

직장생활을 하면 자연스럽게 납부하는 금액이 있습니다. 4대보험료인데 그 중에서도 국민연금을 포함하여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등을 납부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국민연금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입니다. 바로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국민연금은 일정한 나이가 되면 더이상 노동력이 떨어지어 노동을 이어가지 못할 때 젊었을때 냈었던 국민연금을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수령나이가 되면 국민연금을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적으로 복지제도를 시행하는 제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만약에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실겁니다. 저도 그부분이 궁금해서 오늘 정보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만약에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연금을 수급하기 전 3년동안 전체국민연금 가입자들의 평균소득월액보다 많다면 연금수령액이 차감된다고 하네요.

 

 

현재 평균월소득금액은 대략 245만원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에 이 금액을 넘게 된다면 연금을 차감받게 되는것입니다. 차감되는 기준은 근로소득금액과 사업소득금액을 종사월수로 나누는금액을 놓고 결정한다고 하네요.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노령연금 지급감액분 표에 따라서 월 감액이 됩니다. 당연히 금액은 크면 클수록 많은 금액이 차감되게 됩니다. 초과소득금액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는 초과소득월액분의 5%라고 합니다. 만약 50만원의 소득이 있다면 25000원을 감액받은 뒤 국민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노령연금 지급 감액분표

 

다음 표를 확인하시면 초과소득월액에 따른 지급 감액분을 한눈에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에 최고 400만원 이상의 금액을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으로 잡힌다면 월 감액은 50만원이상이 되게 됩니다.

 

 

이런경우 차감되는 금액이 아까우니 연금 받는것을 연기하는 제도를 활용해보시면 좋습니다. 연금을 미루는 제도는 노령연금 연기제도라는것이 있다고 하니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해당 제도를 잘 활용해보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추가로 내연금 알아보기를 통해서 내가 받게 될 연금을 확인해보는 방법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www.nps.or.kr 사이트 접속하시면 다음과같이 인증없이도 간단하게 예상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 및 예상연금 간단계산 과정을 통해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방법도 있습니다. 인증하고 내연금을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공인인증이 필요하며 예상연금액을 조회하거나 가입 및 납부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급금여를 청구할 수 있는곳이기도 합니다.

 

 

우선 인증없이 편하게 조회하는 방법을 선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령이나 유족 및 장애연금 예상액을 인증과정 없이 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만 60세 이상의 경우는 가입대상이 아기 때문에 계산을 할 수 없다고 하네요. 노령연금이 수급 가능 최소가입기간은 10년입니다. 

 

 

다음으로 기본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생년월일과 함께 국민연금을 최초로 가입한 년도와 상실한 년도를 작성하고 예상소득 상승률을 작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중요한 소득정보입니다. 소득이 시작된 년도와 종료년월 그리고 개월수와 월소득금액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만약에 크레딧이 있다면 크레딧 대상도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결과값을 확이해보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이런저런 문제 걱정될텐데 그럴때 내가 받는 예상연금도 간단하게 계산해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예상연금 간단계산입니다. 월 납입보험료만 작성하면 자동으로 결과값이 촤르륵 나오게 되는 방법입니다. 

 

 

월 납입보험료를 삼십만원이라고 작성해보았는데 해당 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기준이 잡히며 노령연금과 장애연금 그리고 유족연금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년가입과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으로 되어있습니다. 40년 납입시 최고 110만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되는지에 대한 내용과 국민연금 금액을 간단하게 조회해보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